요즘 성폭력 피해를 신고하는 (#Me Too 나도 당했다) 운동으로 사회 이슈 칼럼에 성폭력 피해 사례가 많이 등장합니다.
그런데 이런 Me Too 운동으로 여성들이 또 다른 2차 피해를 당하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남성들의 펜스룰로 인한 피해인데요. 이는 일부 남성들이 직장에서 '성폭력 가능성을 미리 차단한다.' 는 명분으로 업무 효율을 위해 동료와 친해질 회식이나 , 출장에서 여성들을 의도적으로 배제 , 여직원과 대화 중 말 실수를 할까 걱정돼서 소통을 사내 메신저를 해 투명 인간 취급' 하면서 남자 직원이 여성 직원을 멀리 한다는 것입니다.
여성에 대한 남성들의 과도한 경계를 '펜스 룰(Pence Rule)'이라고 부릅니다.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 '펜스 룰'을 하고 있다는 남성들이 올린 글을 보면 '여직원이 무섭게 느껴진다', '여자와 얽히면 나중에 무슨 일을 당할지 모르는 세상이니 남자들이 여자들과 거리를 둘 수밖에 없다', '회식은 여자들끼리', '방심하다 '미투' 당할 수 있으니 여직원들 조심하자' , '팀장이 회식직전 잘못 하면 요즘 큰일 난다며 카드만 주고 본인은 일찍 집에 들어갔다 ' 등의 댓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펜스 룰(Pence Rule)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2002년 미국 의회 전문지 '더 힐' 인터뷰에서 언급한 자신만의 철칙에서 유래한다.
그는 당시 "아내 이외 여자와는 절대로 단둘이 식사하지 않는다."고 했다. 구설에 오를 수 있는 행동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아내 외 다른 여성들과 개인적인 교류나 접촉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여직원은 내 주변 60㎝ 안에 들어오지 마라"…황당한 '펜스 룰' (연합뉴스 카드뉴스)
여성지도자들이 손에 꼽힐만큼 적은 이유는 무엇인가?로 Ted에서 논하였던 페이스북 최고 운영책임자 셰릴 샌드버그는 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미투운동 이후 성희롱을 한 권력 있는 남성들이 직장을 잃었고, 이에 일부 남성들이 '펜스룰'을 따르고 있다" 며 "여성들과 일대일로 마주하는 시간을 피하는 것이 직장 내 성희롱을 방지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여성들에게 큰 걸림돌이 될 것" 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여성들이 직장에서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줄어들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회 일각에서는 지나친 펜스 룰이 여성에게 가해지는 성폭행의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하며, 사회에서 여성의 기회를 축소해 결국 여성을 더 고립시킬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본질을 피하는 방법은 남녀 간 갈등의 골을 더욱 깊어지게 합니다. 여성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대화로 소통을 이어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여성과 남성의 문제가 아닌 우리 모두의 문제인 것을 인식하는 우리가 되길 바랍니다.
미투의 뜻과 미투의 시작은? (0) | 2018.03.16 |
---|---|
미성년자 대상 성폭력범 처벌강화 (0) | 2018.03.13 |
안희정 충청도지사 가려진 두얼굴, 성폭행 후 '텔레그램'속 대화내용 (0) | 2018.03.06 |
사이버 성폭력(인터넷 성폭력)도 엄연한 성범죄....정신적 피해 심각! (0) | 2018.03.05 |
그리스 신들도 성폭행을 당했대요 (0) | 2018.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