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발달로 해킹과 데이터 정보 유출로 수많은 피해가 증가하여 쉬운 비밀번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전문가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비밀번호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소홀한 사람이 많습니다.
최근 보도자료(kbs 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6&aid=0010671024)에 따르면, 미국의 인터넷 보안업체 스플래시데이터가 2018년 인터넷을 통해 유출된 500만 개 이상의 비밀번호를 분석한 결과 123456이 최악의 패스워드 1위를 차지했고 password와 123456789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 했습니다. 또 다른 최악의 비밀번호는 111111이나 abc123처럼 단순한 숫자와 알파벳의 조합, login이나 letmein, admin처럼 쉽게 유추 가능한 단어들이 포함돼 있었습니다.
2018년 가장 많이 쓰이면서 취약한 비밀번호 25선 (괄호는 전년 대비)
사용해서는 안 되는 문자로 구성된 비밀번호는 sunshine, iloveyou, loveme, master, freedom, princess, football 등과 같은 단어들이고, 북아메리카와 유럽에 유출된 비밀번호들을 분석했기 때문에 영어 단어들이 주로 포함됐지만 우리나라도 기억하기 쉬운 단어들은 비밀번호 조합에서 피해야 한다는 교훈이 될 수 있습니다. 스플래시 데이터는 약 10%의 사용자들이 최악의 비밀번호 25위 안에 드는 암호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들 가운데 3%는 최악의 비밀번호는 123456을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 123456 (Rank unchanged from last year)
2. password (Unchanged)
3. 123456789 (Up 3)
4. 12345678 (Down 1)
5. 12345 (Unchanged)
6. 111111 (New)
7. 1234567 (Up 1)
8. sunshine (New)
9. qwerty (Down 5)
10. iloveyou (Unchanged)
11. princess (New)
12. admin (Down 1)
13. welcome (Down 1)
14. 666666 (New)
15. abc123 (Unchanged)
16. football (Down 7)
17. 123123 (Unchanged)
18. monkey (Down 5)
19. 654321 (New)
20. !@#$%^&* (New)
21. charlie (New)
22. aa123456 (New)
23. donald (New)
24. password1 (New)
25. qwerty123 (New)
보안 전문가들에 따르면 안전한 비밀번호를 만드는 수칙은 먼저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 기호를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최대 12자 이상 최소 8자 이상으로 조합해야 안전하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계정마다 다른 비밀번호를 사용해야 하며, 비밀번호 변경 시에도 단순히 1이나 2 등 숫자를 추가하는 방식은 안전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문자로 변경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해커들이 찾아내기 쉬운 비밀번호는 같은 번호를 반복해서 사용한다는 것과 사용자들이 기억해 내기 쉬운 것들 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쉽게 유추 가능한 비밀 번호는 피해야 합니다. 아래 사이트를 통해 내가 가지고 있는 비밀번호가 얼마나 안전한지 확인해 보고 안전하지 않다면 지금 당장 변경 하셔야 합니다.
출처 : https://howsecureismypassword.net/
모바일(안드로이드폰)에서 페이스북 유해사진 신고하기 (2019버젼) (0) | 2019.02.17 |
---|---|
PC에서 페이스북 유해 사진 신고하기 (2019년 버전) (0) | 2019.02.17 |
청소년 1388 (전화상담 + 문자상담) (0) | 2019.02.14 |
청소년사이버상담 1388 (0) | 2019.02.13 |
이메일 무역 사기 (0) | 2018.11.30 |